KBS 제주어 창작동요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BS 제주어 창작동요대회는 KBS 제주방송총국에서 주최하는 제주어 창작 동요 대회이다. 2011년 제1회 대회가 개최되었으며, 매년 대상 수상곡과 함께 다양한 부문의 수상작을 선정한다. 2011년에는 '조아마시'가, 2012년에는 '매기독닥 (아무 것도 없어)'이 대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방송공사의 어린이 텔레비전 프로그램 - KBS 창작동요대회
KBS 창작동요대회는 1989년 시작되어 중단과 재개를 거쳐 일반인 참여, 노랫말 공모 등의 변화를 겪으며 '가을 들길' 등 히트곡을 배출, 한국 동요 발전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동요 창작 경연대회이다. - 한국방송공사의 어린이 텔레비전 프로그램 - 누가누가 잘하나
《누가누가 잘하나》는 KBS에서 동요 공연, 뮤직톡톡 코너, 시상식으로 구성되어 캠벨 에이시아를 비롯한 진행자들이 이끄는 어린이 프로그램으로, 방송 시간 및 채널 변경, 결방과 편성 변경을 거치며 방송되고 있으며, 으뜸상 수상자를 배출하고 동요 대회와 연관되어 어린이 음악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한국의 동요 - 새야새야 파랑새야
'새야 새야 파랑새야'는 동학 농민 운동 당시 시대상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민요로, 파랑새, 녹두꽃 등의 상징적 표현을 통해 당시 사회의 혼란과 억압, 희망과 절망을 은유적으로 보여주는 어린이 동요이며, 녹두밭에 앉지 말라는 경고와 파랑새의 비행을 촉구하는 가사로 구성되어 있다. - 한국의 동요 - MBC 창작동요제
MBC 창작동요제는 1983년부터 2010년까지 매년 개최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동요 경연대회로, 다양한 주제와 참신한 동요들이 출품되어 한국 동요의 역사와 사회상을 보여주며, 대학가요제, 강변가요제와 비견될 만큼 높은 인기를 얻어 수많은 유명 인사들이 참여하여 위상을 높였다. - 동요 - MBC 창작동요제
MBC 창작동요제는 1983년부터 2010년까지 매년 개최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동요 경연대회로, 다양한 주제와 참신한 동요들이 출품되어 한국 동요의 역사와 사회상을 보여주며, 대학가요제, 강변가요제와 비견될 만큼 높은 인기를 얻어 수많은 유명 인사들이 참여하여 위상을 높였다. - 동요 - KBS 창작동요대회
KBS 창작동요대회는 1989년 시작되어 중단과 재개를 거쳐 일반인 참여, 노랫말 공모 등의 변화를 겪으며 '가을 들길' 등 히트곡을 배출, 한국 동요 발전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동요 창작 경연대회이다.
KBS 제주어 창작동요대회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방송명 | KBS 제주어 창작동요대회 |
시청 등급 | ALL |
장르 | 음악(동요)·어린이·시사·교양 |
방송 분량 | 90분 |
방송 기간 | 2011년 ~ 2012년 |
방송 횟수 | 2부작 |
방송 채널 | KBS 제주 1TV |
제작 | |
기획 | 한국방송공사 |
제작 | 한국방송공사 |
기술 정보 | |
음성 | 2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
자막 | 폐쇄 자막 방송 |
고화질 방송 여부 | HD 제작 · 방송 (2011년 ~ 2012년) |
기타 | |
비고 | 서울 KBS 본사를 비롯한 일부지역 KBS에서는 시청할 수 없음. |
2. 역대 대상 수상곡
wikitext
각 연도별 수상 내역은 아래 하위 문서를 참고한다.
3. 역대 동요제 수상자
3. 1. 2011년 (제1회)
최우수작사상조아마시 박정필 김드리 늘해랑 중창단 (김우주 외 7명) 최우수작곡상 자장가 정은주 정인숙 정서로 우수상
최우수작사상조아마시 박정필 박주만 노래마을 아이들 (이윤서 외 5명) 인기상 올레 걷기 홍수안 전선 한채연 우수상 불란지 황보은 김영민 임진호 올레에 왕 오름에 강 김영지 임수연 이민서 콩콩콩 박정필 염경아 지승현, 김효원 느영나영 곱을락 놀이 이현숙 김희정 하늘소리 중창단 (송지연 외 5명) 시껌둥이 황정아 박수연 러브엔젤스 중창단 (장혜윤 외 7명) 돌하르방 김보연 김명진 현서원 바농 이광휘 조혜진 큐티엔젤스 중창단 (황영인 외 5명) 어머니 박현진 진성호 애기나리 중창단 (최창연 외 5명)